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

[제주도 우도] 우도 배시간과 이동수단,가볼만한곳 등 ^^

by 지음주리 2025. 2. 10.
반응형

우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우도면


우도는 제주 본섬 동쪽에 위치한 작은 섬이에요.

배를 타고 15분정도가면 도착하는 작은 섬인데요.

우도가 참 아름답습니다.

제주도 섬 자체가 아름답지만 우도는 또 우도만의 느낌이 있지요.

 

 

배를 타고 가는것에 신나하는 아이들과 2박3일 우도에 들어갔다 간적이 있는데

이때의 기억이 참 좋아요.

길을 걷는데 걷는곳마다 제주도의 푸른바다가 보이고

차가 많이 없어요.

차가 없는 도로는 희안한 해방감을 들게 했어요.


 

우도에 들어가는 방법

 

성산항과 종달항이 있지만 대부분 성산에서 탑승을 합니다.

그 이유는 30분단위로 배편이 자주 있기 때문이에요.

 

성산포항 종합여객터미널

제주 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성산등용로 130-21

064-782-5670

 

짐을 보관할 수 있는 락카와 안내소 편의시설이 있어요.

짐을 두고 하루 가볍게 다녀오실 수 있어요.

※ 신분증 지참

 

주차요금
30분 무료
15분 초과시마다 500원
1일 최대 8,000원

※경차,전기차,저공해차량은 50% 할인

 

운행시간

성산항 첫배 오전 7시 30분(성산항 출발)
성산항 막배 오후 5시 30분(성산항 출발)
우도 막배 오후 6시(우도 출발)
운항 간격 약 30~60분 간격(성수기에는 증편 운행)

※강풍이 불면 배가 결항될 수 있으므로 출발 전 운항 여부 확인 필수!!

 

우도 배편 요금

성인  10,500원
청소년  9,800원
초등학생  3,800원
3~7세  4,500원

 

차량 승선 비용

왕복요금
승용차(4인 이하)  27,000원
오토바이  10,500원
자전거  3,000원

렌터카 반입금지

※교통약자나 우도 내 숙박객은 렌트카 반입 가능

전기차량 : 차량 배터리 충전율 50% 초과 차량, 외관상 충돌 흔적이 있는 차량은 승선 불가

미리 예약은 불가
선착순 이용
성수기(여름,연휴) 1~2시간 전 미리 도착 필수

 

우도에서 이동수단

저희는 전기차를 대여했어요.

배에서 내리면 대여 가능한곳이 많이 있고 가격대도 비슷하기 때문에 마음에 드시는 곳으로 들어가시면 되세요.

대부분 영업시간은

오전 8시부터 오후 5시30분까지 입니다.

가격대는 10,000~40,000원까지 다양해요.

겨울에 방문이시라면 우도전기차가 좋겠죠.

너무 추워요.

 

※우도전기스쿠터는 운전자 면허가 필요해요.

 

그외 우도 우도 순환버스도 있어요.

 

면허가 없거나

자전거를 탈 줄 모르거나

교통수단에 드는 비용을 최소화하고 싶은 경우

 

버스는 좋은 교통수단입니다.

 

우도 순환버스는 홀수일과 짝수일의 운행 방향이 달라요.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는게 좋고 통상 아침부터 오후 시간대까지 여러 대가 돌며, 성수기에는 배차 간격이 짧아지기도 하니 정확한 운행 시간표는 우도 현장 매표소,관광안내소 또는 버스 정류장에 게시된 공지를 확인하시면 될것같아요.

일일권 형태로 끊으면 당일 동일 코스를 무제한으로 탑승 가능하니 버스도 좋은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겨울 우도에서 꼭 가봐야 할 곳

 

1. 하고수동 해변

- 조개가루로 이루어진 하얀 모래 해변에서 고요한 바닷가 풍경을 감상하기 좋아요.

2. 검멀레 해변&검멀레 동굴

우도에서 가장 독특한 절벽과 동굴이 있는 곳이에요.

3. 우도봉 정상(성인봉)

정상까지 올라가면 우도와 제주 본섬을 한눈에 볼 수 있어요

겨울에도 등산 가능하지만, 방한복과 장갑 필수에요.

 

4.우도 8경 중 하나인 주간명월

겨울철 달빛이 우도 해변을 비추는 모습이 더욱 운치 있어요.

 

5.우도 땅콩 아이스크림 맛보기

우도의 대표 간식이에요.

대표 맛집 : 우도왕자,검멀레 땅콩아이스크림

 

우도 반나절 추천 코스(4~5시간)

 

성산항 출발 → 우도 도착

전기차 or 버스

하고수동 해변 산책
우도봉 등상
땅콩아이스크림 & 점심 식사
검멀레 해변 & 검멀레 동굴
오후 4~5시쯤 우도에서 성산항으로 복귀

 

 

 

반응형